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가 만든 음악, 내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 평균율과 순정률 이야기

by warmsteps 2025. 7. 28.

편균율과 순전율률관련 그림

 

인공지능이 음악을 작곡하는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음계 조율 방식인 평균율과 순정률의 선택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컴퓨터 알고리즘이 만들어낸 음이 과연 사람 귀에 얼마나 자연스럽고 감성적으로 들릴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결국 기계적인 계산의 정밀성(평균율)과 인간적인 조화감(순정률)의 대립으로 이어집니다. 이 글에서는 AI 작곡 기술이 이 두 조율 방식을 어떻게 활용하고, 또 어떻게 조화시켜 새로운 음악 지평을 열어가는지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계음의 정밀성과 평균율의 논리적 우위

AI가 작곡한 음악은 기본적으로 수치 계산과 알고리즘 기반 모델링에 의존합니다. 음악을 음정, 박자, 코드, 구조 등 다양한 요소로 수치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창작을 시도할 때, 평균율은 가장 유리한 선택입니다. 평균율은 옥타브를 12개의 동일한 간격의 반음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마치 자로 잰 듯 정확하고 규칙적이라 AI가 프로그래밍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간단합니다. 어떤 조에서도 동일한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에게는 최적의 조율 체계입니다. 특히 딥러닝 기반 생성 모델(GAN, Transformer 등)은 대부분 평균율로 조율된 서양 음악이기 때문에 AI 모델들은 자연스럽게 평균율 위주의 작곡에 익숙해집니다. 기계적인 정밀함과 예측 가능한 구조는 AI 음악에 있어 안정성과 일관성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완벽함'이 역설적으로 한계가 되기도 합니다. 인간의 감성, 특히 감정의 미묘한 뉘앙스를 충분히 담아내기에는 어딘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즉, 기계음이 음악적으로 ‘정확’하긴 하지만 ‘감동적’이진 않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자연음 기반의 순정률과 인간 감성의 연결

그렇다면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음악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그 해답은 "순정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순정률은 자연 배음의 정수비를 기반으로 한 조율 방식입니다. 인간 귀에 가장 편안하고 감성적인 울림을 선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치 자연의 소리처럽 부드럽고 조화로운 하모니를 만들어냅니다. 완전 5도(3:2), 장 3도(5:4)와 같은 비율로 조율된 음정은 특정 조에서는 매우 순수하고 안정된 화음을 만들어냅니다. AI가 인간 감성을 고려한 음악을 작곡하고자 할 때, 이 순정률은 강력한 감정적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AI에게 순정률은 평균율보다 복잡한 프로그래밍과 계산을 요구합니다. 순정률은 조에 따라 음정값이 달라지고, 곡의 분위기가 바뀌어 전조가 발생할 경우  다시 조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감성 AI, 뇌파 기반 음악 치료 등 사람의 심리와 반응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악을 작곡하려는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순정률에 대한 관심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힐링 음악, 명상 사운드, 자연주파수를 활용한 음원 제작 등에서는 순정률 기반 음계가 더 높은 만족도를 준다는 연구도 발표되고 있으며, 이처럼 자연음의 울림을 담은 순정률은 AI 음악의 감성적 깊이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조화로운 융합, AI 시대의 새로운 조율 패러다임

결국 AI 작곡 시대에서 평균율과 순정률은 서로 대립하는 존재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대상입니다. 평균율은 AI가 음악을 정교하게 다루고 예측 가능한 구조를 만드는데 필요한 뼈대를 제공하고, 순정률은 그 뼈대에 따뜻한 감정과 생명력을 불어넣는 살과 피가 됩니다. 현재 일부 AI 작곡 플랫폼에서는 사용자 선팩에 따라 조율 방식을 바꾸거나, 곡의 특정 부분만 순정률로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식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곡의 시작이나 멜로디는 평균율로 안정감을 주고, 클라이맥스나 감정적안 부분에서는 순정률로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디지털 신디사이저나 VST 음원에서도 마이크로 튜닝(Microtuning) 기능을 통해 평균율을 넘어선 미세 조정이 가능해지면서, 이를 통해 AI 음악에서도 보다 인간적인 음향이 구현되고 있습니다. 미래의 AI 음악은 이 두 조율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켜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차원의 음악적 아름다움이 창조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 작곡이 주류로 자리 잡아가는 지금, 평균율과 순정률의 조화는 더 이상 음악 이론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이는 기계적인 정확성과 인간의 따뜻한 감성, 그 사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음악을 단순히 듣는 것을 넘어서 ‘느끼고 이해’하려는 시대에, 평균율과 순정률에 대한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입니다. 지금, 당신의 음악도 이 두 조율 체계의 균형 속에서 새로운 감동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AI가 만들어내는 미래의 음악은 기술의 정교함과 인간의 감성이 어우러진, 진정으로 아름다운 하모니가 될 것입니다.